본문 바로가기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

다문화 교육 뉴스 Ξ 상세

인천교육청,다문화 교육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 모색 과 교수학습 설계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등록일 2024.11.22 / 조회 45
인천교육청,다문화 교육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 모색 과 교수학습 설계 역량 강화 연수 개최

▲ 다문화 교육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 모색 (사진제공:인천시교육청) (C)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인천시교육청이 지난 21일 교원, 교육청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어 학급 및 다문화 교육 정책학교 성과나눔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행사는 한국어교육 및 다문화 교육의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학교급별 분임 토의를 진행했다. ? 인천시교육청은 2024년 한국어 학급 49교 95학급과 다문화 교육 정책학교 42교를 운영하여, 이주 배경 학생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화 적응 지원과 학교 구성원들의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다문화 교육을 실시했다. ?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교육공동체 모두가 다양한 문화 속에서 서로 협력하는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교육 구성원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 ‘깊이 있는 학습, 질문하는 수업’ 역량 강화 연수(사진제공:인천시교육청) (C) 박상도 기자 또한, 인천시교육청이 지난 20일 관내 초등교원 300여 명을 대상으로 ‘깊이 있는 학습, 질문하는 수업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연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교사들이 교수학습 설계 역량을 강화해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마련했다. ? 특히, 교과 간 연계와 통합, 학생의 삶과 연계된 학습, 학습 성찰 등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배우는 즐거움을 경험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 ? 연수에 참여한 한 교사는 “이번 연수에서 깊이 있는 학습과 질문하는 수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말했다. ? 또, 인천시교육청은 ‘초등 수업 혁신 지원단’을 구성하고 자료집을 보급하여 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지원하고 있다. 자료집에는 깊이 있는 학습 프레임워크, 교수·학습 설계 방법, 탐구 질문 중심 수업 설계 및 운영, 학생 질문 정교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 시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수업과 평가가 학교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인천시교육청은 2024년 12월부터 2025년 2월까지 깊이 있는 학습과 질문하는 수업으로의 전환을 통한 미래 역량 강화 및 현장 지원을 위해 교육지원청별로 실습 중심의 워크숍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 Incheon Office of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chievement Sharing and Development Plans an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Capacity Strengthening Training Held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held a 'Korean Language Clas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Achievement Sharing Meeting' on the 21st with approximately 80 teachers, education office officials, etc. in attendance. ? According to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event that day was a division-based discussion by school level to share best practi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eek development plans. ?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perated 49 Korean language classes and 95 classes and 42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in 2024, and implemented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for stud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and to enha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school members. ? An official from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aid, “We will continue to create a school culture where all educational communities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diverse cultures and provide customized support to educational members.” ? In addition,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conducted ‘In-depth Learning, Questioning Class Capacity Enhancement Training’ for approximately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district on the 20th. ? According to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is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teachers strengthe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capacity by reflecting the revised 2022 curriculum and support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 In particular, it provides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 joy of learning on their own and develop the capabilit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through linkage and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learning linked to students’ lives, and learning reflection. ? One teacher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said, “This training helped me understand in-depth learning and questioning classes better, and I gained ideas that I can apply to actual classes.” ? In addition,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by forming an ‘Elementary Class Innovation Support Group’ and distributing a collection of materials. The collection includes in-depth learning frameworks,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methods, inquiry-based class design and operation, and elaboration of student questions. ? An official from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stated, “We will continue to actively support classes and evaluations based o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so that they can be established in schools.” ? Meanwhile,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lans to hold practice-oriented workshops for each office of education from December 2024 to February 2025 to strengthen future capabilities and provide on-site support through the transition to in-depth learning and questioning classes. ?

이전글
다문화 한글 교실·지자체와 체험학습… 민관학 협업의 유아교육[맞춤형 유아교육·보육이 온다]
다음글
[창원공단의 기억] 바둑판 구획에 끼워 넣은 원주민의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