Ξ 상세
- 아산시의회, AI·재난·이주노동자 정책 과제 잇따라 제안
- 등록일 2025.09.17 / 조회 15
▲ 충남 아산시의회 제26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 진행 장면(왼쪽부터 김미성 의원, 천철호 의원, 명노봉 의원)? ? 아산시의회 제공 ? 아산시의회가 16일 제262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도시의 미래 전략과 재난 대응, 이주노동자 정책까지 주요 현안을 아우르는 제언을 내놓았다. 의원들의 발언은 분야별 접근을 넘어 산업·안전·공동체가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지역 발전이 가능하다는 점을 드러냈다. ? 김미성 의원은 아산이 AI 선도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국가 첨단 전략산업으로 꼽히는 디스플레이 인프라와 교통망, 대학을 기반으로 특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생산 공정에 AI를 접목하면 품질 예측과 공정 제어가 가능해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나아가 충남테크노파크가 추진하는 실증산단 사업을 아산 강소특구와 연계해야 한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김 의원은 이를 위해 인력 양성과 인프라 지원을 병행해야 하며, 테스트베드와 GPU 확보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했다. 결국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산업 구조 전환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요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 천철호 의원은 지난 7월 폭우로 특별재난구역으로 선포된 아산의 복구 과정을 되짚으며 재난 대응 체계 강화를 강조했다. 자원봉사자와 공무원의 헌신이 빠른 회복을 이끌었지만, 제도적 장치 없이는 재난이 반복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하천 정비와 배수 체계 개선, 산사태 위험지역 관리,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대응 시스템 선진화, 시민이 참여하는 대비 문화 확산 등 네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다시 말해, 재난을 단순히 복구의 문제가 아니라 사전 예방과 대응 능력을 높이는 체계적 과제로 바라본 것이다. ? 명노봉 의원은 외국인 주민 증가에 비해 제도적 대응이 뒤처져 있다고 비판했다. 아산의 외국인 인구는 4만 명에 달해 도내 비율 1위를 기록하지만, 행정 지원은 민간 보조사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운영 중인 아산이주노동자센터는 매년 공모 방식으로 운영돼 연초에는 공백이 발생하고, 인력과 예산도 불안정해 상담의 연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명 의원은 천안·당진 등 인근 지자체의 사례를 언급하며, 상시 운영체계와 통합지원 기능을 갖춘 전담 공공센터 설립을 촉구했다. 요컨대 외국인 근로자를 단순한 지원 대상이 아니라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주체로 인식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담긴 발언이었다. ? 세 의원의 발언은 각각 산업 혁신, 재난 대응, 사회적 포용이라는 서로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동시에 아산시가 직면한 구조적 과제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첨단기술 기반의 산업 전략, 선제적 재난 안전망, 이주민 지원 제도화를 균형 있게 추진하는 것이 지역의 지속 가능한 성장 조건이라고 분석한다. 아산시의회가 던진 제안들이 행정 정책으로 구체화될 수 있을지가 향후 관건이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 At the 262nd extraordinary session held on the 16th, the Asan City Council presented proposals covering key issues, including the city's future strategy, disaster response, and migrant worker policies. The council members' comments emphasized that regional development requires a seamless integration of industry, safety, and community, transcending a sector-specific approach. ? Councilmember Kim Mi-sung presented a strategy for Asan to become a leading AI city. She argued that specialized AI model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ity's display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network, and universities, which are considered nationally advanced strategic industries. She particularly emphasized that integrating AI into production processes would enable quality prediction and process control, thereby enhancing competitiveness. She also proposed linking the Chungnam Technopark's demonstration industrial complex project with the Asan Small and Medium Business District. To achieve this, Councilmember Kim proposed a combin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support, and proposed specific measures such as securing test beds and GPUs. Ultimately, her remarks appear to call for institutional support for industrial restructuring, beyond mere technology adoption. ? Rep. Cheon Cheol-ho emphasized the need to strengthen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reflecting on the recovery process of Asan, which was declared a special disaster zone due to heavy rains last July. He pointed out that while the dedication of volunteers and public officials led to a rapid recovery, recurring disasters are likely without institutional mechanisms. He proposed four tasks: stream management and improved drainage systems, landslide risk management, advanced response systems to secure the golden hour, and fostering a culture of preparedness with citizen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he viewed disasters not simply as a matter of recovery, but as a systematic task of enhancing preven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 Rep. Myeong No-bong criticized the institutional response for lagging behind the growing foreign population. While Asan boasts the highest foreign population in the province, at 40,000, the city relies on private subsidies for administrative support. The Asan Migrant Workers Center, currently in operation, operates on an annual open call system, resulting in gaps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Furthermore, staffing and budget instability make it difficult to ensure continuity of counseling services. Citing examples from nearby local governments like Cheonan and Dangjin, Councilman Myung call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public center equipped with a permanent operating system and integrated support functions. In essence, his remarks conveyed a critical awareness that foreign workers should be recognized not as mere recipients of support, but as key players in sustaining the local economy. ? While the three council members' remarks addressed different themes?industrial innovation, disaster response, and social inclusion?they collectively highlight the structural challenges facing Asan City. Experts argue that a balanced approach to advanced technology-based industrial strategies, proactive disaster safety nets, and institutionalized support for immigrants are ess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 region. The key question for the future lies in whether the Asan City Council's proposals can be implemented into administrative policies.